목록내림차순 (4)
N
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OUfCJ6qVMDFAWg&categoryId=AWOUfCJ6qVMDFAWg&categoryType=CODE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 swexpertacademy.com N개의 성적 중 K개를 골라 최댓값을 구하면 된다. 우선 N개의 성적을 저장하는 벡터를 생성하여 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sort() 함수를 이용해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한다. 마지막에는 ans에 0 ~ K 인덱스의 값을 차례대로 저장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벡터를 정렬하여 최솟값을 만드는 문제..! 우선 A와 B 벡터를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때에는 desc() 함수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자리에 있는 값을 곱하여 answer에 누적시키면 끝..! 추가적으로 sort()를 내림차순으로 만들 때, sort(B.rbegin(), B.rend())를 사용하여도 된다! rbegin()과 rend()는 역방향 반복자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bool desc(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solution(vector A, vector B) { int answer = 0; sort(A.begin(), A.end()); sor..

long long형의 정수 n을 내림차순으로 배치해야 한다. 우선 각 자릿수를 구하여 v 벡터에 저장을 해준다. 이때 v벡터는 long long 형이 아니어도 된다..! 1자리 수를 저장하면 되기 때문..! while문을 통해 각 자릿수를 구하면 sort함수를 통해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한다. 그 후 for문으로 10의 i 승 * v[i]를 해주면 된다..! 예시를 들자면 1) 118372를 while문을 통하여 1 1 8 3 7 2로 v 벡터에 저장을 한다. 2) sort함수를 통해 1 1 2 3 7 8 로 정렬을 한다. 3) i = 0일 때, 10의 0승 * v[0] = 1 * 1 i = 1일 때, 10의 1승 * v[1] = 10 * 1 i = 2일 때, 10의 2승 * v[2] = 100 * 2 ...

algorithm 헤더에 있는 sort 함수를 이용하는 문제..! 단, sort함수는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하는 함수를 따로 정의해줘야 한다. 그래서 desc 함수를 만들어주었다..!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하는 문제가 여러개 있으니 외워두면 많이 쓸 수 있다...! 이와 별개로 sort를 다른 방식으로 정렬해야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적절하게 변경해서 사용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bool desc(char a, char b) { return a > b; }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sort(s.be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