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 (3)
N

생활코딩 강의를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 웹 페이지 이동 이제 간단하게 클릭을 통해 웹 페이지를 이동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4개의 html 파일이 필요합니다. 저는 1) html.html 2) css.html 3) js.html 4) index.html 로 이름을 정하겠습니다. index.html은 가장 처음 페이지를 나타내며, Web의 정의를 쓴 페이지 입니다. html.html은 html의 정의가 써져있는 페이지, css.html은 css의 정의가 써져있는 페이지, js.html은 javascript의 정의가 써져있는 페이지 입니다. 아래는 index.html로 나머지 3개의 파일에서도 공통적인 부분을 가져다 쓰겠습니다 WEB HTML CSS JavaScript WEB The World Wi..

생활코딩 강의를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 태그 table 태그는 처음에는 많이 헷갈리는 태그입니다. 우선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tag percentage head 98.1% body 97.9% html 97.9% table 태그에도 속성이 많지만 간단하게 border만 적용하였습니다. border는 윤곽선을 그리며, 해당 속성이 없을 경우 선이 그어지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border="1"로 지정하여 구분하기 쉽게 그렸습니다. 우선 tr 태그 입니다. 은 table row로 행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맨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확인해보면 tag와 percentage가 1번째 행입니다. 하지만 다른 행과 다르게 글자가 가운데 정렬이 되어 있으며, 굵게 나오는 ..

생활코딩 강의를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 P 태그와 br 태그 p tag VS br tag 태그 없이 글을 쓰게 된다면 줄바꿈을 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태그를 이용해 줄바꿈을 적용해 봅시다. p는 paragraph의 약자입니다. 즉 하나의 문단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태그 내에서 줄바꿈을 하면 적용이 될까요?? br은 원하는 위치에서 줄바꿈을 할 때 사용합니다. 특징은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 닫는 태그란 위 문단에서 p 태그의 끝에 있는 /p가 없다는 뜻입니다. 위 코드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p 태그 내에서 줄바꿈을 해도 적용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p 태그마다 줄바꿈이 적용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태그는 위의 설명처럼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 br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