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백준 c++)21610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본문

백준 알고리즘

(백준 c++)21610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naeunchan 2021. 6. 7. 10:51
728x90
반응형

문제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했고, 1번 열과 N번 열도 연결했다. 즉, N번 행의 아래에는 1번 행이, 1번 행의 위에는 N번 행이 있고, 1번 열의 왼쪽에는 N번 열이, N번 열의 오른쪽에는 1번 열이 있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N, 1), (N, 2), (N-1, 1), (N-1, 2)에 비구름이 생긴다. 구름은 칸 전체를 차지한다. 이제 구름에 이동을 M번 명령하려고 한다. i번째 이동 명령은 방향 di과 거리 si로 이루어져 있다. 방향은 총 8개의 방향이 있으며, 8개의 정수로 표현한다. 1부터 순서대로 ←, ↖, ↑, ↗, →, ↘, ↓, ↙ 이다. 이동을 명령하면 다음이 순서대로 진행된다.

  1. 모든 구름이 di 방향으로 si칸 이동한다.
  2. 각 구름에서 비가 내려 구름이 있는 칸의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1 증가한다.
  3. 구름이 모두 사라진다.
  4. 2에서 물이 증가한 칸 (r, c)에 물복사버그 마법을 시전한다. 물복사버그 마법을 사용하면,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에 물이 있는 바구니의 수만큼 (r, c)에 있는 바구니의 물이 양이 증가한다.
    • 이때는 이동과 다르게 경계를 넘어가는 칸은 대각선 방향으로 거리가 1인 칸이 아니다.
    • 예를 들어, (N, 2)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1), (N-1, 3)이고, (N, N)에서 인접한 대각선 칸은 (N-1, N-1)뿐이다.
  5. 바구니에 저장된 물의 양이 2 이상인 모든 칸에 구름이 생기고, 물의 양이 2 줄어든다. 이때 구름이 생기는 칸은 3에서 구름이 사라진 칸이 아니어야 한다.

M번의 이동이 모두 끝난 후 바구니에 들어있는 물의 양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r번째 행의 c번째 정수는 A[r][c]를 의미한다.

다음 M개의 줄에는 이동의 정보 di, si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M번의 이동이 모두 끝난 후 바구니에 들어있는 물의 양의 합을 출력한다.

 

 

 

21년 삼성 상반기 오후반 문제다.

완전 탐색을 진행하면 된다.

 

인덱스를 헷갈리지 않게 51 x 51 사이즈로 맵을 만들어 주었다.

또한, 방향 인덱스도 1 ~ 8 이므로 9의 사이즈로 directX, directY를 만들어 주었다.

 

입력을 각각 알맞게 받아온 후,

처음 구름은 (N,1), (N,2), (N-1,1), (N-1,2) 위치에 존재하므로 q에 4개의 구름을 넣어준다.

 

M만큼 반복하여 구름을 이동시키고, 비를 받아오자.

방문 여부를 알 수 있는 visited 벡터.

비가 내린 곳의 위치를 알 수 있는 v 벡터.

 

큐에 들어있는 사이즈만큼 반복하여 구름을 d의 방향으로 s만큼 이동시킨다.

x, y는 구름의 위치이며 이동이 끝난 후 board[x][y]++을 하여 1 증가시키고, visited[x][y] = true로 바꿔 주도록 한다.

또한, v 벡터에도 x,y 를 넣어준다.

 

모든 구름이 이동을 마쳤으면 물복사버그를 시전한다.

v 벡터에 들어있는 위치가 구름이 이동을 마친 후의 좌표이므로

해당 좌표의 대각선 방향을 검사하여 1 이상이면 x,y 좌표의 물을 1 증가한다.

 

그 후, 구름을 생성하는데 모든 맵을 탐색하면서 2 이상이고, 방문하지 않은 곳이면 해당 좌표를 큐에 넣어주도록 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int N, M;
	int answer = 0;
	queue<pair<int, int>> q;
	vector<vector<int>> board(51, vector<int>(51, 0));
	int directX[9] = {0, 0, -1, -1, -1, 0, 1, 1, 1};
	int directY[9] = {0, -1, -1, 0, 1, 1, 1, 0, -1};

	cin >> N >> M;

	for(int i = 1; i <= N; i++){
		for(int j = 1; j <= N; j++){
			cin >> board[i][j];
		}
	}

	q.push(make_pair(N, 1));
	q.push(make_pair(N, 2));
	q.push(make_pair(N - 1, 1));
	q.push(make_pair(N - 1, 2));

	while(M--){
		int d, s, size;
		vector<vector<bool>> visited(51, vector<bool>(51, false));
		vector<pair<int, int>> v;

		cin >> d >> s;

		size = q.size();
		
		//구름 이동
		for(int i = 0; i < size; i++){
			int x = q.front().first;
			int y = q.front().second;

			q.pop();

			for(int j = 0; j < s; j++){
				x += directX[d];
				y += directY[d];
				
				if(x == 0){
					x = N;
				}
				else if(x > N){
					x = 1;
				}
				
				if(y == 0){
					y = N;
				}
				else if(y > N){
					y = 1;
				}
			}
				
			board[x][y]++;
			visited[x][y] = true;
			v.push_back(make_pair(x, y));
		}
		
		for(int i = 0; i < v.size(); i++){
			int x = v[i].first;
			int y = v[i].second;
			
			//물복사버그 시전
			for(int j = 2; j <= 8; j += 2){
				int nx = x + directX[j];
				int ny = y + directY[j];

				if(nx >= 1 && nx <= N && ny >= 1 && ny <= N && board[nx][ny] >= 1){
					board[x][y]++;
				}
			}
		}

		//구름 생성
		for(int i = 1; i <= N; i++){
			for(int j = 1; j <= N; j++){
				if(board[i][j] >= 2 && !visited[i][j]){
					q.push(make_pair(i, j));
					board[i][j] -= 2;
				}
			}
		}
	}

	for(int i = 1; i <= N; i++){
		for(int j = 1; j <= N; j++){
			if(board[i][j] > 0){
				answer += board[i][j];
			}
		}
	}

	cout << answer;
	
	return 0;
}
728x90
반응형

'백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c++)1005 ACM Craft  (0) 2021.06.15
(백준 c++)10815 숫자 카드  (0) 2021.06.09
(백준 c++)1780 종이의 개수  (0) 2021.06.03
(백준 c++)1992 쿼드트리  (0) 2021.06.02
(백준 c++)2630 색종이 만들기  (0) 2021.06.02